[기타] txt 파일 주의사항 데이터 크롤링을 하다보니 라인이 54000줄 밖에 입력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다시 해야함 ㅜㅜ) 한 줄의 길이도 큰 것이 한 몫을 한 듯 하다. 일단 불러올 수 있는 범위인 10000줄 정도로 해놨는데 앞으로 어디까지 정상으로 로드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해야할 듯하다. [Android] Espresso에서 CustomView 값 확인하기 Espresso를 이용한 UITest를 작성 중 ProgressBar의 값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를 만들기 위해 검색을 했었다. 공식 문서에는 일반 View 예제가 주로 설명이 되어있고 마지막 줄에 CustomView 관련해서 Attribute를 확인할 수 있는 코드가 링크가 되어있었다. - Espresso 기초 : https://developer.android.com/training/testing/espresso/basics Espresso basics | Android Developers This document explains how to complete common automated testing tasks using the Espresso API. The Espresso AP.. [Node.js] Cheerio 모듈로 크롤링 시 주의사항 앱의 로컬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크롤링을 하려고 Cheerio를 썼는데 img 태그의 값을 못 추출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유는 이런 식의 표기법으로 되어있었고 Cheerio는 이와 같이 표준이 아닌 경우 무시를 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해당 데이터는 직접 bodyString에서 직접 찾아 추출하는 형태로 적용하여 해결했다. 끝. [Design Pattern] Adapter Pattern(어댑터 패턴) -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기대하는 다른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패턴- 호환성이 없는 인터페이스 때문에 함께 동작할 수 없는 클래스들이 함께 작동하도록 해줌- 안드로이드에서는 RecyclerView, ListView, ViewPager, ViewFlipper 등에서 주로 쓰임 - 예제 설명1. Socket이라는 클래스는 getVolt 함수 호출 시 무조건 120 값을 가진 Volt 클래스 객체를 리턴함2. SocketAdapter라는 인터페이스에서 120, 12, 3 메소드를 선언함3. SocketClassAdapterImpl(Socket 클래스를 상속), SocketObjectAdapterImpl(Socket 클래스를 상속받지 않음)에서 SocketAdapter를 Implements하여 해당 메소.. [Node.js] ES6 문법 실행하기 node.js에서 ES6 문법이 지원된다고 해서 ES6 문법으로 작성을 하고 실행시켜봤는데 에러가 뜨면서 실행되지 않았다. ES6 문법의 소스를 실행시키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Babel을 이용해서 CommonJs 문법으로 변환 후 해당 파일을 실행(ES6 문법을 공부하고자 함이었기에 이 방법은 시도하지 않음) 2. node --experimental-modules 해당파일(.mjs) - 실행하고자 하는 js파일의 확장자를 mjs로 변경한 뒤 위의 명령어로 실행하면 node.js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음 참고 : https://nodejs.org/api/esm.html - 끝 - [Node.js] Gulp 따라해보기 - (1) Gulp는 워크 플로우 자동화 도구인데 예전에 한 번 봤다가 이번에는 제대로 한 번 개념이라도 잡고 가야할 것 같아 튜토리얼을 따라하면서 정리 및 예제에서 동작되지 않는 코드를 빌드할 수 있게끔 수정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 참고(튜토리얼) : https://css-tricks.com/gulp-for-beginners/ 1. Gulp 설치(맥 유저만 sudo 씀)$ sudo npm install gulp -g 2. 해당 프로젝트 폴더로 가서 Gulp 모듈 설치$ npm install gulp --save-dev 3. 튜토리얼 쪽 폴더 구조를 만듦(node_modules랑 package.json은 이미 존재하므로 다른 파일과 폴더만 만들면 됨)|- app/ |- css/ |- fonts/ |- ima.. [Android] 크롬에서 안드로이드 로그 확인하기(Debugging) 크롬에서도 안드로이드를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을 처음 알게 되었다. Android Studio 아니면 adb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에서만 가능한 줄 알았는데 신기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1. 테스트 디바이스의 드라이버를 설치2. 테스트 디바이스의 개발자 모드 활성화(USB 디버깅도 체크)3. 디버그 모드로 앱 실행4. 크롬 실행 후 chrome://inspect5. Remote Target 밑에 자신이 실행한 앱 이름 하단에 inspect 링크 클릭6. DevTool 창에서 자신이 원하는 로그 혹은 상태를 확인(아래 설명은 현재 주로 쓰고 있는 기능에 대해서만임) - Elements : 현재 UI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 가능 - Network : 현재 통신 상태에 대한 정보 표시 - Reso.. [프로그래밍] Bad Smell을 가진 나쁜 코드에 대한 고찰 경력이 그렇게 오래된 것은 아니지만 코드 리뷰, 프로젝트 유지 보수를 하면서 느낀 경험에 따라 코드에 대해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준이 생겼다. 나만의 나쁜 코드에 대한 기준을 정리하고자 이 글을 쓴다. 피드백을 주시면 더욱 좋을 것 같다.(주로 쓰는 언어가 자바이고 안드로이드만 한 상태라 자바, 안드로이드 관련해서 정리함) 1. 너무 긴 코드 - 한 메소드 혹은 클래스 안에 너무 많은 내용이 들어가 있는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임- 메소드라면 해당 안의 기능을 따로 메소드로 빼내야할 필요성이 있음- 클래스라면 혹시 너무 많은 책임을 담당하고 있지 않은지 검토할 필요성이 있으며 필요하다면 분리할 책임들을 담당할 클래스를 만들어야 함 2. if ~ else if ~ else if~ ..... else - 이런.. 이전 1 ··· 4 5 6 7 8 9 다음